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팁스모아의 생활지식 블로그입니다. 오늘 글에서는 병원기록 조회 방법으로 온라인 인터넷으로 확인 및 프린터 인쇄를 어떻게 하는지 상세한 A to Z를 준비해보았습니다. 의료 시스템이 발달한 우리나라에서는 누구나 국민 건강보험을 적용받기 때문에 저렴한 진료와 약값으로 유명하죠. 그래서 조금이라도 몸 상태가 좋지 않다면 누구나 가까운 병원에 방문해서 진료와 약 처방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는 해외에서는 이런 시스템을 무척 부러워하기 때문에 치료받을 권리를 톡톡히 누리는 우리나라 국민은 참 축복받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렇게 병원을 방문해서 진료를 받고 치료와 약 처방을 받았다면 모두 보험적용을 받게 되고 전산상 데이터가 남아 병원기록 조회가 가능해집니다. 특히 직장인이나 학생의 경우 병원기록 조회 방법을 꼭 알아두셔야 하는데요. 그 이유는 직장의 병가, 공결 등을 입증하는 자료로 제출해야하기 때문입니다.
또 이뿐만 아니라 가입한 보험상품의 보험비를 지급받고 싶으시다면 증빙자료로서 진료 기록이나 약 처방서를 보험사에 제출해야 하는데요. 이 경우에도 온라인에서 쉽게 병원 기록을 조회해보고 종이 인쇄나 PDF 파일을 받으셔서 보내시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병원을 가지 않는 사람은 없기 때문에 언젠가는 꼭 쓸 일이 생기는 병원기록 조회 방법을 꼭 숙지해보시길 바랍니다.
병원기록 조회 방법 (인터넷에서 쉽게 확인하자)
1. 병원기록 조회를 인터넷에서 하기 위해서는 국민건강보험 사이트로 접속해야 합니다. 주소를 첨부드립니다.
minwon.nhis.or.kr/ 들어가신 후에 위에 있는 로그인을 클릭해주시길 바랍니다.
2. 개인의 병원기록 조회를 누구나 쉽게 해서는 큰 일이 나겠죠. 그래서 로그인시에는 공인인증서 본인인증이 필수입니다. 개인을 선택해주시고 주민번호 입력, 그 후에 공인인증서로 인증해주시면 됩니다.
3. 로그인이 되셨다면 국민건강보험 사이트에서 민원신청 > 보험급여내역 및 진료받은내용을 클릭 하시길 바랍니다.
4. 수신자는 로그인된 본인의 이름이 보이게 됩니다. 이제 병원기록 조회로 확인하고 싶은 날짜, 기간을 설정해주시면 되는데요. 진료받은 내용은 조회한 현재 기준으로 14개월 진료분부터 1년간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너무 오래된 진료기록은 보이지 않습니다.
만약 14세 미만의 자녀의 병원기록 조회를 원한다면 부모의 공인인증으로도 열람이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비급여 진료기록, 특수상병이나 민감정보에 해당되는 진료내역이라면 조회결과에 나오지 않습니다.
5. 바로 아래를 보시면 설정한 기간에 내가 진료받은 기록을 볼 수 있는데요. 병원, 의원, 약국의 명칭과 진료개시일, 진료형태, 처방횟수, 본인부담금, 방문일수, 투약일수, 공단부담금 조회가 가능합니다.
병원기록 진료내역을 프린터 인쇄하는 방법
1. 확인한 진료 목록이 보여지는 페이지에서 인터넷 우측 상단의 ...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그 후에 인쇄로 들어가주시길 바랍니다.
2. 인쇄에 사용하는 프린터를 지정해주시고 페이지, 레이아웃, 컬러를 설정하시고 아래 인쇄를 누르면 종이로 된 자료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엄청난 꿀팁이 있습니다. 바로 스마트폰으로 병원기록 조회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인데요. 공단에서는 국민의 알권리 충족과 병원, 의원, 약국에서 납부한 진료비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에서 진료받은 내용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에서 조회하기 위해서는 M건강보험 어플을 설치하고 > 진료받은 내용 메뉴를 클릭 > 공인인증 로그인 > 진료받은 내용 확인 순서로 진행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코로나가 기승인 가운데 날씨 또한 쌀쌀해지고 있습니다. 건강에 늘 주의하시고 조금이라도 오한이 들거나 기침이 생긴다면 가까운 보건소나 병원을 방문해서 진료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IT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롬 마우스 우클릭 해제 방법 (프로그램 X) (0) | 2020.10.09 |
---|---|
카카오톡 사다리게임 하는법 (조작 방법까지) (2) | 2020.09.15 |
트위터 비밀번호 찾는 방법 (0) | 2020.09.03 |
윈도우10 화면녹화 방법 (프로그램 미설치) (1) | 2020.08.22 |
카카오톡 블랙 테마 설정 방법 (다크 모드) (0) | 2020.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