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올팁모아입니다. 오늘 준비해본 팁은 카카오톡 블랙 테마 설정 방법입니다. 흔히들 다크 모드라고도 불리는데 기본적인 흰색 배경이 아니라 검은색 배경으로 변경이 되게 되며 스마트폰의 배터리 절약과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도 항상 카카오톡 블랙 테마를 이용하고 있는데 한번 이용을 하면 기본 테마를 이용하지 못할 정도로 디자인적으로나 기능적으로 뛰어나다는 말씀을 먼저 드리고 싶습니다.

 

원래는 카카오톡 블랙 테마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특정 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았어야 하나 이제는 카카오톡의 업데이트를 통해서 기본 설정을 쉽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요즘에는 검은색으로 스마트폰으로 이용하는 것이 하나의 트렌드가 됨에 따라서 스마트폰의 설정에서도 다크 모드를 지원하고,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에서도 마찬가지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검은색으로 통일된 색상으로 바꿔서 이용해보시길 바랍니다.

 

 

카카오톡 블랙 테마 (다크 모드) 적용하는 방법

1. 카카오톡에서 최우측 하단에 있는 ... 메뉴를 클릭해서 들어가 준 다음에 우측 상단에 있는 톱니바퀴 설정 버튼을 클릭해서 들어가줍니다.

 

 

2. 아래를 보시면 테마 (기본테마) 부분이 있습니다. 눌러주시면 됩니다.

 

 

3. 기본에 있는 3가지 설정 중에 다크 모드가 있습니다. 한번 눌러주시면 카카오톡이 재시작되면서 블랙 테마로 이용하게 됩니다. 나중에 기존의 흰색 배경으로 돌아가고 싶다면 위 메뉴에서 시스템 설정 모드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4. 블랙 테마가 적용된 모습입니다. 친구목록, 채팅목록, #, ... 메뉴뿐만 아니라 채팅방에서까지 검은색 배경으로 적용됩니다.

 

더 가벼운 라이트 모드 / 다양한 카카오프렌즈 테마 적용하는 방법

블랙 테마만 사용하다보면 쉽게 질릴 수도 있고 낮에는 가독성이 좋지 않다고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럴떄에는 다른 테마들도 번갈아가면서 사용해주는 것이 좋은데요. 먼저 라이트모드는 카카오톡의 주요 기능들을 더 빠르고 가볍게 동작하게 만들어주어 렉도 없어지고 빠르게 카카오톡이 실행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카카오프렌즈 테마는 어피치, 콘, 무지와 같은 캐릭터들의 색상과 디자인으로 카카오톡을 이용할 수 있는 설정입니다.

 

기본 테마에서 라이트모드를 설정하셔서 적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로 내려보시면 공식 테마들이 있고 다운로드 버튼이 있는데요. 카카오톡에 기본 테마로 만들기에는 용량상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는지 클릭시 앱 다운로드 마켓으로 이동됩니다. 설치를 해주시고 카톡의 동일한 메뉴에서 적용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여기까지 카카오톡 블랙 테마 적용 방법을 알려드린 올팁모아였습니다.

댓글